-
VDT 증후군의 유해위험요인
-
VDT증후군이란?
- VDT증후군이라 함은 현대인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컴퓨터, 계기판 등 각종 영상표시단말기를 취급하는 작업이나 활동으로 인하여 어깨, 목, 허리부위에서 발생되는 경견완증후군 및 기타 근골격계증상, 눈의 피로, 피부증상, 정신신경계증상을 말합니다.
- VDT증후군과 관련된 근골격계질환의 명칭
- 경경완증후군(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 제39조)
-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(미국) → WNSDs(Workk-related Musculokeletal Disorders)
- 반복성 긴장장애(캐나다, 북유럽, 호주 등) → RSI(Repetitibe Strain Injuries)
- 누적외상성 질환 → CTDs(Cumulative Trauma Disorders)
- 반복동작장애 → RMS(Repetitive Motion Disorders)
- 과사용증후군 → Overuse Syndromes
- [표]미국 OSHA에서 정의한 근골격계질환의 징후와 증상(2000)
- VDT 증후군의 유해위험요인
- 작업조건 : 휴식시간, 작업부하 등
- 작업자세 : 머리와 목의 각도, 상완 외전 및 들어올림, 손목의 구부러짐과 신전,정적인 작업자세, 혈관과 신경조직의 압박 등
- 작업환경 : 조명, 소음, 온·습도, 환기 등
- VDT 증후군 예방을 위한 보조도구
영상물표시단말기 고시 개정
-
거북 목 증후군이란?
-
VDT작업자를 위한 스트레칭
-
- 1분만 투자하세요
- VDT, 반복작업
- 방법
- 1-6번을 연속으로 스트레칭 후 7-8번 스트레칭
- 1-3 또는 4-6 또는 7-8로 묶어 스트레칭